문제 해결 프로그래밍 입문 ② 입출력, 문제 해결 및 빠른 입력
1. 기본 입력- 기본 입력 : input()- a = input() # 한 줄로 입력을 받음- print(a,b) # a+띄어쓰기 한칸+b 출력, 다른 형태로 구분하고 싶다면 옵션으로 변경- type(a) # a의 타입을 확인한다- input 함수로 입력한 값은 항상 문자열로 저장- a=int(a) # a 값을 정수값으로 변환- a=int(input()) # 입력받은 값을 바로 정수형 변환- a,b=input().split() # 띄어쓰기 기준으로 나눠서 a, b에 저장- 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 # 숫자로 변환해서 한번에 a, b에 저장- a=input().split() # 이 상태에서 A B C 입력 시 ['A','B','C'] 리스트로 저장됨- a[0]='A'로..
2024. 9. 21.
빅데이터기초 프로그래밍 ② 파이썬 기본 문법
1. 프로그램 요소와 순서도- 데이터 : 명령어가 실행될 때 사용하기 위한 자료- 명령어 : 컴퓨터의 특정 작업, 데이터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작업(순차, 반복, 분기)- 파이썬 문법은 대소문자를 구분함- 순서도 : 명령어와 데이터의 흐름을 도식화한 것. 2. 프로그램 자료형과 문법(1) 자료형 종류- 숫자 자료형 : 정수, 실수 등- 문자 자료형 : 문자로 구성(리스트 자료형으로도 취급 가능)- 시퀀스 : 연속적 자료형, 문자열("I love you")/리스트(['I','love','you'])/튜플(('I','love','you"))- 딕셔너리 : Key, value 쌍으로 구성, {'age':46,'height':173}- 논리 자료형 : 참, 거짓, True/False- 세트 자료형 :..
2024. 9. 20.
데이터 모델링과 SQL ② 데이터 모델링, 엔터티, 속성, 식별자
1. 데이터 모델링(1) 데이터 모델링 -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데이터 관점의 업무 분석 기법- 현실 세계 데이터를 약속된 표기법에 의해 표현하는 과정- 특징 : 추상화, 형상화, 단순화, 명확화- 유의점 : 중복, 비유연성, 비일관성(2) 데이터 모델링 단계-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: 업무 중심적, 포괄적인 수준의 데이터 모델링-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: 식별자를 도출하고, 관계, 속성 등을 정의, 정규화, 중복을 허용하지 않아 무결성 유지-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: 테이블, 인덱스, 테이블 생성, 성능, 보안, 기능성 개발(3) 스키마- 사용자, 설계자, 개발자가 데이터 베이스를 보는 관점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를 기술하고 관계를 정의한 표준- 스키마 3단계 : 외부 스키마, 개념 스키마, 내부..
2024. 9. 19.